'2015/06'에 해당되는 글 12건

  1. 2015.06.30 IFTTT의 'DO Button'앱을 스마트홈에 적용해 보다. 8
  2. 2015.06.28 6월의 끝자락에 월악산(月岳山)을 종주하다
  3. 2015.06.26 로지텍 하모니 홈 허브(Logitech Harmony Home Hub)로 스마트홈을 한 손에 담다 19
  4. 2015.06.24 애플워치(Apple Watch) 충전케이블 및 스트랩 구매기 3
  5. 2015.06.22 아마존 에코(Amazon Echo)로 음성으로 전등을 켜고 꺼보자 14
  6. 2015.06.21 이슬비속에서 설악산을 걷다 - 둘째날 소청대피소부터 소공원까지
  7. 2015.06.21 이슬비속에서 설악산을 걷다 - 첫째날 백담사부터 소청대피소까지
  8. 2015.06.15 동해안 자전거길 종주와 함께한 애플워치(Apple Watch) 사용기 7

IFTTT의 'DO Button'앱을 스마트홈에 적용해 보다.

|

 

 

자동화 앱인 IFTTT는 스마트홈의 디바이스들을 연동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나는 재작년부터 집안에 스마트홈을 사부작사부작 구축을 하면서 IFTTT앱을 요긴하게 사용을 하였었다.

Belkin Wemo가 자동화앱인 IFTTT를 만나서 더욱 똑똑해지다.

IFTTT 앱으로 Home Automation을 진화시키다.

 

그런데 올해초에 이 놈이 한단계 업그레이드를 하여서 IFTTT앱은 'IF'로 개명을 하고, 'Do Button', 'Do Camera', 'Do Note'라는 가족(Family)  앱도 만들었다.

 

 

 

 

 

 

'IF'앱은 If This(Trigger) Then That(Action)의 단순한 문장으로 여러 디바이스들을 서로 연결하여 주었는데,

'Do Button'앱은 'IF'앱보다도 더욱 단순한 문장구조를 가지고 있다.

조건(Condition)을 포함한 On/Off 레시피만 만들면 땡이다. 한마디로 꾹하고 누르는 버튼(Button)을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집의 스마트홈 디바이스로 설치된 네스트 온도조절기(Nest Thermostat), 필립스 휴(Philips Hue),

위모 라이트 스위치(Wemo Light Switch)에 'Do Button'앱을 테스트로 적용하여 보았다.

 

1. 네스트 온도조절기(Nest Thermostat)

 

 

나는 재작년에 네스트 온도조절기를 우리집에 직접 설치하여 매우 잘 사용하고 있다.

 

네스트 온도조절기(Nest thermostat)를 우리집에 달다 - 1.구매기

네스트 온도조절기(Nest thermostat)를 우리집에 달다 - 2.설치기

네스트 온도조절기(Nest thermostat)를 우리집에 달다 - 3. 셋업

 

 

 

 

 

 

'Do Button'앱의 레시피는 어디(PC, 스마트폰, 태블릿)에서 생성하여도 관계가 없다.

아이폰에서 우리집 네스트 온도조절기의 목표 온도를 섭씨 13도로 맞추는 레시피를 만들어 보았다.

한마디로 난방을 끄라는 이야기이다.

 

 

 

 

 

 

IFTTT 'Do Button'앱은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도 발매가 시작된 애플워치에서도 구동이 되어서 애플워치로 시연을 해보았다.

 

 

 

 

 

 

혼자서 시연과 동영상 촬영을 동시에 하는 것이 불가능 하여서, 손목 모델은 여름방학을 맞은 첫째녀석이 대신해 주었다.

네스트 온도조절기로 난방을 하고 있다가, 애플워치의 'Do Button'어플을 꾹 터치만 해주면 목표 온도를 13도로 바꾸면서 난방을 끈다.

 

 

 

 

 

2. 필립스 휴(Philips Hue)

 

 

나는 거실에는 필립스 휴 블룸 전구를 날씨 신호등의 목적으로, 방 3곳에는 필립스 휴 전구를 기상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한 전구인 필립스 휴(Philips Hue) 가지고 놀기 - 1.구매 및 설치

 스마트한 전구인 필립스 휴(Philips Hue) 가지고 놀기 - 2.실사용기

 

 

 

 

 

 

필립스 휴 전구의 레시피는 전구를 토글(On/Off)하는 퍼블릭 레시피가 있어서 그대로 사용을 하였다.

 

 

 

 

 

 

필립스 휴 전구의 On/Off도 애플워치의 'Do Button'앱에서 가능하나, 이번에는 아이폰에서 시연을 해보았다.

 

 

 

 

 

 

네스트 온도조절기때에 첫째녀석에게 손목 모델을 부탁하였더니만, 애가 팔에 힘이 없어서 부들부들 떨기에,

이번에는 거실의 마루바닥에 퍼질러 앉아서 협탁위에 아이폰을 놓고서 손수 촬영을 하였다.

TV뒤에 설치된 필립스 휴 블룸 전구는 명령에 반응하는 속도가 네스트 온도조절기에 비하여 많이 느리다.

 

 

 

 

 

3. 위모 라이트 스위치(Wemo Light Switch)

 

 

마지막으로 가장 최근인 올봄에 우리집 방 4곳에 설치한 위모 라이트 스위치를 'Do Button'앱으로 켜고 꺼보았다.

 

 벨킨 위모 라이트 스위치 설치기 - 1. 검토 및 설정

 벨킨 위모 라이트 스위치 설치기 - 2. 설치 및 작동

 

 

 

 

 

 

위모 라이트 스위치의 레시피도 이미 만들어진 퍼블릭 레시피가 있어서 그대도 사용을 하였다.

 

 

 

 

 

 

위모 라이트 스위치의 시연은 또다시 디바이스를 바꾸어서, 이번에는 화면이 널찍한 아이패드로 테스트를 해보았다.

 

 

 

 

 

 

아이패드 화면과 위모 라이트 스위치와 연결된 천장의 전등을 한 앵글에 잡기위해서 마루바닥에 쭈그리고 앉아서 동영상을 찍었다.ㅠㅠ

위모 라이트 스위치의 반응속도도 필립스 휴에 비해서는 빨랐으나 약간의 시간 지연이 존재했다.

 

 

 

 

 

 

IFTTT의 'Do Button'앱을 우리집 스마트홈 디바이스인 네스트 온도조절기, 필립스 휴, 위모 라이트 스위치에 각각 적용하여 보았는데,

명령을 전달하는 경로(애플워치-[블루투스]-아이폰-[WIFI]-유무선공유기-[WIFI]-브릿지-[Zigbee]-필립스 휴)가 길어서 그런지,

필립스 휴 전구와 위모 라이트 스위치의  경우에는 상당한 시간의 연착(Delay)이 발생하였다.

 

아직은 'Do Button'앱이 약간 미흡한 점이 있지만, 업데이트를 통하여 조금더 가다듬어 진다면 스마트홈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을까 싶다.

 

 

And

6월의 끝자락에 월악산(月岳山)을 종주하다

|

 

 

산을 좋아하게 되면서부터 월악산을 꼭 한번 오르고 싶었는데, 대중교통으로의 접근성이 좋치가 못하여 입맛만 다시고 있었다.

그러던 차에 첫직장 산악회에서 6월의 정기산행으로 월악산을 간단다. 당연히 콜~~

 

월악산은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과 경상북도 문경시에 걸처져 있는 1,097m의 영봉(靈峰)을 주봉으로 하는 산이다.

달이 뜨면 영봉에 걸린다고 하여 월악(月岳)이라는 이름을 붙였단다.

 

 

 

 

 

 

오전 9시반경에 송계계곡의 덕주사을 출발하여 영봉, 중봉, 하봉을 경유하여 오후 6시경에 수산리 수산교에 도착을 하였다.

대략 14Km의 거리를 8시간 조금 넘게 징~하게 걸었다.

 

 

 

 

 

 

산악회 버스가 여의도 본사를 출발하여 양재역을 경유하여 내가 탑승하는 죽전간이정류장에 도착을 하는데,

평소에는 주말의 도로 정체와 약간의 코리안 타임도 있어서, 항상 지각을 했었는데 오늘은 왠일인지 On Time에 도착을 했다.

더군다나 가뭄으로 고생하시는 농부님들께는 매우 죄송하지만, 비(雨)가 내리지 않을까 살짝 걱정을 했었는데 날씨가 너~무 좋다.

 

정말로 기분이 만땅이다.

 

 

 

 

 

 

덕주사를 지나서 본격적인 등로에 접어들어 돌계단과 철계단을 힘들게 올라서서

능선에 거의 다다르자 벌써부터 환상적인 월악산의 뷰가 펼쳐지기 시작한다.

약간의 구름이 드리운 파란하늘과 6월의 초록을 흠뻑 머금은 월악산이 내 안구(眼球)를 정화시켜 준다.

 

 

 

 

 

 

정말로 월악산에서 다양한 형태의 계단들을 모두 보았다. 돌계단, 나무계단, 철계단, 고무계단....

덕주사에서 영봉까지 5Km 정도의 거리라고 그래서 만만하게 생각을 하였는데, 무더운 날씨와 온갖 계단에 무척 고생을 하였다.ㅠㅠ

 

 

 

 

 

 

월악산의 능선에 올라서자 북쪽으로는 충주호가 빼꼼이 보이기 시작하고,

남쪽으로는 문경방향의 주흘산과 조령산등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초반 오르막에서 페이스가 많이 떨어졌고, 월악산의 아름다운 경치때문에 배도 고프지가 않아서,

송계삼거리에서 간단히 방울토마토와 참외로 점심식사를 대신하고 곧바로 영봉으로 진격을 했다.

 

 

 

 

 

 

월악산의 꼭대기인 영봉을 향하여 공포의 철계단을 오르면서, 잠깐 숨을 고르며 뒤를 돌아보자 또다시 엄청난 뷰가 펼쳐진다.

 

오르막에선 그토록 힘이 들지만 이 맛에 산에 오르나 보다.

 

 

 

 

 

 

어렵사리 월악산의 꼭대기인 영봉에 올라섰다.

그런데 영봉에서는 중봉에 가리워져서 충주호가 완벽하게 한 눈(目)에 들어오지는 않았다.

 

 

 

 

 

 

평소에는 껍데기가 거시기해서 정상에서의 인증샷은 블로그에 잘 올리지를 않는데,

오늘은 정말로 산다운 산을 오른 것 같아서 과감하게 한번 투척을 해본다.

 

 

 

 

 

 

우리네 인생같이 오르막이 있으면 당연히 내리막이 있는 이치(理致)처럼 이제는 중봉과 하봉을 향한 내리막이다.

지난밤에 비가 북사면(北斜面)인 수산리 방향에만 뿌렸는지 하산길에는 등로가 미끄러워서 조심스럽게 내려왔다.

 

 

 

 

 

 

정말로 중봉에 올라서자 시야에 막힘이 없이 충주호가 시원스레 조망이 된다.

 

너~무나 아름답고, 너~무나 멋있다.

 

 

 

 

 

 

월악산에는 지금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계단을 설치하는등 등산로를 정비하고 있었는데,

등산로의 정비를 완료하고 기존에 존재하던 영봉 우회로와 하봉 우회로등을 폐쇄하여 버렸다.

 

해가 짧은 동절기에 산행시간이 부족한 등산객이나 체력이 떨어진 등산객을 위하여 기존 우회등산로를 살려 두었으면 한다.

한번 진입을 하면 전혀 우회로나 탈출로가 없어서, 체력이 떨어진 초보자도 무리해서 봉우리를 넘어야 하는 모순이 있다.

 

 

 

 

 

 

월악산은 덕주사 방향의 오르막도 가파랐지만, 수산리 방향의 내리막도 장난이 아니더라.

 

 

 

 

 

 

영봉이나 중봉에 비해서는 오르막이 심하지는 않은 하봉에 올라서서, 이제는 마지막으로 충주호의 아름다운 풍광을 실컷 감상해 보았다.

 

 

 

 

 

 

그리고 미끄러운 내리막을 조심스레 내려와서 월악산 종주길의 중요한 Way point인 보덕암에 무사히 도착을 하였다.

보덕암에서 산악회 버스가 주차되어 있는 수산교까지 지루한 콘크리트길을 또다시 한참을 걸어 내려와서 오늘 월악산 산행을 마무리했다.

 

 

 

 

 

월악산은 오르막과 내리막이 가파라서 조금은 힘이 들었지만, 충주호를 내려다보며 걷는 풍광(風光)만큼은 최고이지 싶다.

거리에 비하여 시간이 많이 걸리니 여유있는 산행이 필요해 보이며, 중간에 식수공급이 불가하니 충분한 물을 지참하는 것이 현명해 보인다.

 

월악산, 힘들었지만 참으로 멋있는 산이었다.

And

로지텍 하모니 홈 허브(Logitech Harmony Home Hub)로 스마트홈을 한 손에 담다

|

 

 

우리에게 마우스 및 키보드등 PC 악세사리 업체로 잘 알려진 로지텍(Logitech)사의 하모니 홈 허브(Harmony Home Hub)를 이용하여서

집안에 널려있는 수많은 리모콘과 다양한 스마트홈 장비들를 스마트폰으로 통합하여 제어(Control)하여 보았다.

 

 

 

 

 

 

대략 1달전 즈음에 'RubyOn'이라는 닉네임을 쓰시는 네티즌께서 집안에 네스트 온도조절기를 설치하시다가 도움을 요청해 오셔서 잠깐동안 만났었다.

'RubyOn'님의 네스트 온도조절기가 제품 불량임을 확인하고 다른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로지텍사의 하모니 홈 허브에 대하여 정보를 얻게 되었다.

 

하모니 홈 허브는 다양한 리모콘 및 스마트홈 장비를 스마트기기에서 통합하여 제어하게 하는 장치이다.

아주 쉽게 이야기를 하자면 '내 스마트폰을 만능 리모콘으로 만들어 주는 장치'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그래서 이 놈도 내가 사랑하는 아마존에서 99달러에 구매를 하였다.

하모니 홈 허브의 정확한 제품명은 'Logitech 915-000238 Harmony Home Hub' 이다.

 

 

 

 

 

 

하모니 홈 허브의 크기는 같은 로지텍사의 디노보미니(dinovo mini) 키보드 보다도 작았으며,

본체 1개, IR mini-blaster 1개, USB 케이블 1개, 전원어댑터 1개가 들어 있었다.

 

 

 

 

 

 

1단계 설정(Setup) 작업은 하모니 홈 허브를 우리집의 무선랜에 연결하는 작업이다.

이 놈도 우리집의 다양한 장비들과 연결이 필요할 듯 보여서 2.4GHz 무선랜에 연결을 하였다.

 

 

 

 

 

 

2단계 설정(Setup) 작업은 리모콘을 사용하는 각종 오락장비와 스마트홈 장비들을 하모니 홈 허브와 연결하는 작업이다.

이 부분에서는 시간이 조금 걸렸으나, 하모니 홈 허브가 전세계의 거의 모든 장비에 대한 프로파일 DB를 가지고 있어서 쉽게 넘어갔다.

 

 

 

 

 

 

하모니 홈 허브의 화면 메뉴(Menu)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가 있는데,

하나는 개별 장비를 제어하는 'Device'와 복수 장비를 시나리오에 의하여 On/Off하는 'Activity'가 있다.

 

위의 캡처 동영상은 TV의 'Device'메뉴를 등록하는 화면이다.

 

 

 

 

 

 

이번 캡처 동영상은 'Watch TV'라는 'Activity'를 등록하는 화면이다.

TV를 시청하기 위하여 TV, 셋톱박스, AV리시버의 전원을 켜고 끄는 순서등을 등록하는 것이다.

 

 

 

 

 

 

하모니 홈 허브에 모든 장비의 등록이 끝나면, 소파에 늘어져서 스마트폰으로 손가락만 까딱하면 거실에 있는 모든 장비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동영상 촬영을 위하여 아이패드로 TV뒤에 간접조명으로 숨어있는 필립스 휴 블룸(Philips Hue Bloom) 전구를 제어해 보았는데 잘 된다.

그런데 하모니 홈 허브가 필립스 휴, 네스트 온도조절기와는 직접 API를 주고 받아서 정확하게 명령을 수행하는데,

벨킨 위모(Belkin Wemo)와는 스마트싱스(Smartthings) 허브를 통하여 API를 주고 받아서 동기화에 약간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번에는 TV, 셋톱박스, AV리시버등 개별 장비에 대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이것은 당근 잘 된다.

 

 

 

 

 

 

위의 캡처 동영상은 개별 장비에 대한 하모니 홈 허브의 구동 화면이니 관심있는 네티즌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란다.

 

 

 

 

 

 

그리고 하모니 홈 허브의 'Activity'에 등록된 TV시청(Watch TV), 크롬캐스트시청(Watch Chromecast),

파이어티비 시청(Watch Fire TV), 애플티비 시청(Watch Apple TV)을 순차적으로 테스트해 보았는데 원활하게 시연이 된다.

 

 

 

 

 

 

그리고 하모니 홈 허브의 설정은 PC프로그램을 통해서도 편리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로지텍사의 하모니 홈 허브는 우리집의 오락기기 및 스마트홈 장비들의 제어를 내 손안의 스마트폰에 쥐어주는 매력있는 디바이스이다.

단 우리집 스마트홈의 근간이 되는 벨킨 위모(Belkin Wemo)와도 직접 API를 열어서 통신을 한다면 금상첨화(金上添花)일텐데 아주 조금은 아쉽다.

 

And

애플워치(Apple Watch) 충전케이블 및 스트랩 구매기

|

 

 

미국 애플스토어에서 직구한 애플워치 스포츠 42mm를 동해안 자전거길 종주 설악산 대청봉 산행 에서 직접 사용을 해보고서,

애플워치 악세사리에 대한 필요성이 느껴져서 1m짜리 충전케이블(Charging Cable) 2개와 추가 스트랩(Strap) 1개를 구매하였다.

 

 

 

 

 

애플워치를 라이딩 및 산행등 야전(野戰)에서 사용하고자 구매를 하였는데, 이 놈의 충전케이블(2m)이 휴대하기엔 너~무도 길다.

고육지책으로 케이블을 둘둘둘 말아서 케이블타이로 묶어서 사용을 하였는데, 미관상 좋지도 못하고 휴대에 부피도 많이 나갔다.

 

 

 

 

 

아직은 애플워치의 공급초기이어서 그런지 인터넷상에 서드파트의 충전케이블은 잘 보이질 않았고 오리지널 애플의 충전케이블만 보인다.

애플 악세사리의 가격이 비싼 것은 악명(惡名)이 자자하지만, 별 다른 대안이 없어서 미국 애플스토어에서 58달러에 2개를 구매하였다.

애플, 이 놈들은 제품의 재고만 있으면 국내배송처럼 주문 다음날에 총알배송을 해준다.

 

 

 

 

 

애플워치와 함께 들어있는 2m짜리 충전케이블과는 달리, 이 놈은 밑바닥이 반짝반짝 빛이 나는 외형이다.

제품에는 충전케이블만 들어 있고 충전잭은 들어 있지를 않으나, 아무 USB잭에 꼽아도 충전은 잘 되니 걱정은 마시라.

 

 

 

  

 

새로이 구매한 애플워치 충전케이블 1개는 거실에 설치를 하였고, 나머지 하나는 야전에서 휴대용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그리고 애플워치 스포츠를 야전이 아닌 일상에서 차고 다니기에는 스트랩의 뽀대가 나지 않을 것 같아서 추가 스트랩을 하나 구매하였다.

 

 

 

 

 

그냥 전통적이고 저렴한 가죽 시계줄인데 아마존에서 26.95달러에 구매를 하였다.

 

 

 

 

 

이 놈은 컴퓨터의 화면으로 보기에는 이뻐 보였으나, 실제로 제품을 수령하여 스트랩을 교체해보니 그닥 뽀대가 나지는 않는다.

 

 

 

 

 

우리나라에도 이달 26일에 애플워치가 정식으로 발매되면, 추가로 1-2개 정도의 충전케이블 및 스트랩은 필요하리라는 생각이 들어서 포스팅을 해보았다.

그리고 애플워치의 악세사리도 국내업체를 포함하여 많은 서트파트사들이 진출하여 가격이 조금더 착해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And

아마존 에코(Amazon Echo)로 음성으로 전등을 켜고 꺼보자

|

 

 

지난해 말에 아마존을 쇼핑하다가 아마존 에코(Amazon Echo)라는 재미있는 장남감을 발견하였다.

이 놈을 한마디로 이야기 하자면 '음성인식이 가능한 와이파이 스피커' 정도로 이야기를 할 수가 있겠다.

더 쉽게 비유를 하자면 '거실에 놓여 있는 애플 시리(Apple Siri)나 구글 나우(Google now)'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겠다.

 

 

 

 

 

이 놈은 음성으로 명령을 내리면 음악을 들려주고, 쇼핑을 해주며, 날씨정보를 알려주고, 교통정보를 들려주고, 집안의 전등을 켜고 끌 수가 있다.

그런데 아직은 조금 띨빡하여서 영어(English)밖에 인식을 하지 못하여, 일부 정보(날씨, 교통등)는 북미에 국한되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제약은 있다.

 

 

 

 

 

나는 2-3년 전부터 스마트홈의 구축에 관심이 많아서, 벨킨 위모(Belkin Wemo)와 필립스 휴(Philips Hue)등을 집안에 설치하여서 잘 사용하고 있다.

 

벨킨 위모(Belkin Wemo)로 원격에서 스마트폰으로 전기를 켜고 꺼보자.

 

 벨킨 위모 라이트 스위치 설치기 - 1. 검토 및 설정

 벨킨 위모 라이트 스위치 설치기 - 2. 설치 및 작동

 

 스마트한 전구인 필립스 휴(Philips Hue) 가지고 놀기 - 1.구매 및 설치

스마트한 전구인 필립스 휴(Philips Hue) 가지고 놀기 - 2.실사용기

 

그런데 아마존 에코가 벨킨 위모와 필립스 휴와도 연동하여 지원을 한다고 지난 5월에 발표를 하자 더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아마존 에코를 구매하기 위하여 아마존을 방문하자, 초대(invitation)받은 사람들에게만 아마존 에코를 팔겠다고 한다.

그러고는 지들도 미안했는지 아마존 프라임 회원(Amazon Prime Members)에게는 99달러에 팔겠다고 슬그머니 메일을 보내왔다.

그래서 못 이기는 척하면서 올해 1월 15일에 아마존 에코를 구매했는데, 글쎄 6월이 되어서야 제품을 보내주겠단다.

 

 

 

 

 

국내 쇼핑몰의 익일배송도 기다리기가 어려운 지랄같은 성격의 나에게 6개월을 기다리란다. 아마존, 정말로 대단한 놈들이다.

정말로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지난 5월말부터 아마존의 배송정보가 조금씩 꿈틀대더니 6월초에 아마존 에코가 내 손에 들어왔다.

 

 

 

 

 

제품을 수령하여 포장을 벗겨보니 내용물은 별 반 없다. 아마존 에코 본체 1개, 리모콘 1개, 전원어댑터 1개가 전부이다.

전원은 110-220V의 프리볼트를 채용하고 있어서, 500원짜리 돼지코만 끼우면 국내에서 문제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아마존 에코의 리모콘은 아마존 파이어 티비의 것과 유사하게 생겼으나,

자석으로 벽(Wall)에 부착할 수 있게 한 점은 머리를 잘 굴린 것 같다.

 

 

 

 

 

아마존 에코의 설정(Setup)은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시키는데로 따라만 하면은 그리 어렵지가 않았다.

단 한가지 주의할 점은 벨킨 위모나 필립스 휴와의 연동을 위해서는 반드시 2.4Ghz 무선랜에 연결하여야 한다.

나는 아무 생각없이 5Ghz 무선랜에 연결하였다가 연동이 되질 않아서 한참 동안을 씩씩거렸다.

 

 

 

 

 

나는 집안에 6개의 벨킨 위모 스위치, 4개의 벨킨 위모 라이트 스위치, 4개의 필립스 휴 전구를 사용하고 있는데,

아마존 에코와 이들 디바이스를 연동시키는 설정을 하면서 위모 스위치, 위모 라이트 스위치, 필립스 휴로 그룹(Group)을 만들어 주었다.

 

 

 

 

 

타이머, 알람등 아마존 에코의 기본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관심이 별로 없을 뿐이고,

 

 

 

 

 

Amazon Music Library, Pandora, iHeartRadio, TuneIn, Audible와 연계하여

음악, 인터넷라디오, 오디오북을 플레이하는 것은 당연히 잘 될 것이고,

나는 오로지 아마존 에코가 벨킨 위모와 필립스 휴와 연계한 작동에만 관심이 있었다.

 

 

 

 

 

영어 발음도 시원치 않은 놈이 아마존 에코의 테스트를 위하여 새벽부터 '알렉사(Alexa)'를 수십번 외치자,

마누라와 첫째녀석이 '안락사'라고 비아냥 거리며 킥킥거리며 놀린다. 썩~을 것들

그래서 네이버 번역기로 음성 명령을 녹음하여서 아마존 에코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테스트와 녹화를 하였다.

 

 

 

 

 

동영상의 녹화는 위모 라이트 스위치, 위모 스위치, 필립스 휴가 모두 설치되어 있고, 작업이 용이한 둘째녀석의 방에서 하였다.

위모 라이트 스위치는 천장의 전등과 연결되어 있고, 위모 스위치는 책상위의 스탠드를 켜고 끌 수가 있으며,

벽콘센트에는 필립스 휴 전구가 설치되어 있어서 아침에 기상등 및 날씨 신호등의 역할을 한다.

 

 

 

 

 

아마존 에코의 리모콘을 통하여 벨킨 위모 라이트 스위치와 연결되어 천장에 달려 있는 전등을 2번,

위모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책상위의 스탠드를 1번, 벽콘센트에 달려 있는 필립스 휴 전구를 2번 켜고 꺼 보았다.

아직은 아마존 에코의 음식인식이 완벽하지는 않아서 간혹 명령을 못 알아 들을때도 있었으나, 뭐 그런데로 잘 작동을 한다.

 

 

 

 

 

아마존 에코가 음악은 당연히 잘 구동시키니 음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번 들어주시고...

 

 

 

 

 

내가 조금 막귀이기는 하지만 아마존 에코(Amazon Echo)와 소노스 플레이:1(Sonos Play:1)의 음질은

저음등 소리의 풍부함에서 스피커 전문업체인 소노스가 조금 우세해 보였다.

 

 

 

 

 

그리고 아마존 에코는 자동화 어플인 IFTTT와도 연동이 되어서, 다른 디바이스 및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하여 다양한 응용도 가능하겠다.

 

 

 

 

 

클라우드에 엄청난 양의 빅데이타를 가지고 있는 아마존이 스마트홈의 거실을 장악하기 위하여 만든 아마존 에코의 잠재력은 충분해 보인다.

다만 아직은 음성인식에 있어서 영어로만 대화가 가능하고, 일부 서비스(쇼핑, 날씨, 교통)는 북미에 국한되어 있지만 업그레이드를 통한 진화가 예상된다.

애플 시리(Apple Siri)도 처음에는 허접하기 그지 없었으나, 지금은 우리말의 인식률이 많이 좋아졌고 답변 내용도 다양하고 풍부해졌듯이

아마존 에코도 사물인터넷의 중요한 분야인 스마트홈의 치열한 공간인 거실의 주인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And

이슬비속에서 설악산을 걷다 - 둘째날 소청대피소부터 소공원까지

|

 

 

당초에는 이번 설악산 프로젝트의 둘째날 일정은 소청대피소를 출발하여 공룡능선을 경유하여 소공원으로 내려오는 동선이었다.

그런데 둘째날에도 계속해서 이슬비가 내리고, 설상가상으로 자욱한 안개로 조망도 좋지가 못하여 천불동계곡으로 하산을 하였다.

 

 

 

 

 

지금처럼 소청대피소가 리모델링이 되기 전에는 대청봉과 가까운 중청대피소가 산객들의 인기 1순위 였었는데,

이제는 잠자리의 공간이 조금 넓고 약간이나마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소청대피소로 인기 1순위가 바뀌어 버렸다.

 

 

 

 

 

평소에도 땀냄새로 진동하는 대피소에서 오래 누워 있지를 못하는 성격인데,

이번에는 비(雨)의 눅눅함까지 더해져서 새벽3시에 잠자리를 박차고 일어나서,

라면과 햇반으로 간단하게 새벽식사를 하고서는 새벽4시에 희운각대피소를 향하여 출발을 하였다.

 

 

 

 

 

이번 설악산 프로젝트의 하이라이트는 공룡능선 종주였는데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

공룡능선의 진입여부를 희운각대피소에서 최종적으로 포기를 하고 다음을 기약하였다.

지속적인 이슬비로 인한 암반구간의 위험성과 자욱한 안개로 인한 시계불량으로 조망도 없기 때문이었다.

 

 

 

 

 

새벽4시에 소청대피소를 출발하여서 체력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공룡능선을 알현할 절호의 기회였지만, 하늘이 허락하지 않으니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위대한 자연앞에서 인간은 미약한 존재임을 다시 한번 실감을 해본다.

 

 

 

 

 

이제는 공룡능선을 타지 못한 아쉬움을 뒤로 하고서, 천불동계곡의 아름다움을 즐겨보기로 한다.

 

 

 

 

 

 

비록 안개 때문에 시계는 좋지가 못했지만, 그래도 천불동계곡의 아름다움은 여전했다.

 

 

 

 

 

이래서 산꾼들은 설악을 최고(最高)라 부르고, 이래서 산꾼들은 기(氣)를 쓰고서 설악을 찾나 보다.

 

 

 

 

 

기암괴석의 절벽 사이로 흐르는 천불동계곡은 한폭의 그림 같았다.

 

 

 

 

 

천불동계곡의 아름다움에 취해서 사진을 찍으면서 걷다 보니 오전 9시가 조금 못되어서 양폭산장앞에 도착을 하였다.

항상 하던 대로 양폭산장앞에서 세면과 족탕을 즐기면서 설악산 프로젝트을 거의거의 마무리한다.

 

 

 

 

 

이번 설악산 산행에도 애플워치 스포츠를 착용하고서 걸었으나, 지난번 동해안 라이딩에서 배터리때문에 워낙 고생을 하여서

이번에는 '운동어플'이나 '런타스틱 어플'을 구동시키지 않았다. 그랬더니 배터리 문제는 생기질 않았다.

애플워치 스포츠의 산행에 대한 필드테스트는 근교의 단거리 산행에서 진행을 해 볼 예정이다.

 

 

 

 

 

비선대를 거쳐서 터벅터벅 걸어서 오전 10시가 조금 못되어서 소공원에 도착을 하였다.

그곳에서 둘이서 막걸리와 감자전으로 설악산 산행의 무사귀환을 가볍게 자축을 한후에

 

 

 

 

 

시내버스로 속초중앙시장으로 이동을 하여서 비와 땀에 젖은 몸을 사우나에서 녹이고,

시장지하의 '상아횟집'에서 마무리 회포를 풀고서는 오후 3시10분 시외버스로 귀가를 하였다.

 

 

 

 

 

이번 설악산 산행에서 공룡능선을 알현하지 못해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 것은 사실이지만, 위대한 자연앞에서 순응하는 법을 다시금 배웠다.

설악산은 사시사철 언제나 멋진 산이다. 벌써 단풍이 곱게 물들은 공룡능선을 넘고 있는 나의 모습을 상상해 본다.

And

이슬비속에서 설악산을 걷다 - 첫째날 백담사부터 소청대피소까지

|

 

 

 설악산을 이틀에 걸쳐서 백담사를 출발하여 봉정암을 경유하여 대청봉을 찍고선 소청대피소에서 1박을 한 후에

희운각대피소, 천불동계곡, 비선대를 경유하여 소공원까지 30여 Km의 거리를 안개와 이슬비속에서 걸어 보았다.

 

 

 

 

 

대략 2주전 즈음에 'nc'라는 선배가 회사일이 꿀꿀하니 설악산을 함께 가자고 제안을 한다. 그래서 흔쾌히 Call~을 하였다.

그런데 nc선배는 비(雨)를 몰고 다니는지, 이 선배와 산을 함께 가면 항상 흠뻑 젖어서 돌아온다. 어쩐지 불길하더라.

 

 

 

 

 

제일로 먼저 소청대피소를 예약하고, 다음으로 동서울터미널에서 백담사입구까지 시외버스편을 예약했다.

그리고 신경을 끄고 지내다가 출발 2일 전에 설악산의 날씨를 검색하자, 스마트폰의 어플마다 조금씩 다른 예보를 한다.

설악산 프로젝트의 모든 것이 준비가 되었고, 일정을 연기하면 장마와 겹쳐질 것 같아서 예정대로 강행을 하였다.

 

 

 

 

 

동서울터미널에서 7시5분에 출발하여 9시경에 백담사 입구에 도착을 하고, 셔틀버스를 타고 10시경에 백담사에 도착할 때까지는 모든 것이 순조로왔다.

백담사의 담벼락에서 산행준비를 마친 후에 수렴동계곡을 걸어 올라가면서 "날씨가 흐리니 덥지 않아서 좋다."며 날씨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이야기를 하였고,

수렴동대피소에서 점심식사를 하면서도 "메르스때문에 대피소가 조용해서 좋다."며 모든 것을 좋은 쪽으로만 최면(催眠)을 걸었었다.

 

 

 

 

 

그런데 왠걸 구곡담계곡을 따라서 올라가자 이슬비가 조금씩 내리기 시작한다.

nc형님은 애써 나를 위로 한답시고 "이슬비가 내리니 시원하지" 이런다.

시원하긴 개코나, 이슬비가 내려서 우비를 입었더니 땀이 통하질 않아서 무지하게 덥다.

 

 

 

 

 

안경에는 김이 서려서 앞이 잘 보이질 않고, 카메라 렌즈에는 비가 들어쳐서 화면이 뿌옇다.

그래도 내설악 구곡담계곡의 비경(秘境)에 취해서 연신 감탄사를 터트리면서 진행을 한다.

 

나도 예전에는 잘 몰랐었는데 백담사 입구부터 백담사까지를 백담계곡,

백담사부터 수렴동대피소까지를 수렴동계곡, 수렴동대피소부터 그 윗쪽을 구곡담계곡이라 부른단다.

 

 

 

 

 

구곡담계곡의 중요한 이정표인 쌍용폭포에도 날이 가물어서 그런지 물줄기가 시원치가 않다.

 

 

 

 

 

이제는 구곡담 계곡과는 헤어져서 봉정암까지의 엄청난 깔딱을 올려 쳐야한다.

그런데 지금껏 잘 따라오던 nc선배의 페이스가 뚝 떨어지며 조금 힘들어 한다.

 

 

 

 

 

초반에는 비(雨)를 피하기 위하여 조금 스피드를 올렸으나, 이제는 비(雨)에 이미 버린 몸이 되었고

요사이는 일년중에서 해가 가장 긴 계절이어서, 스피드를 늦추면서 형님의 보조를 맞추어 본다.

 

 

 

 

 

지난해 3월에는 눈속에 파묻혀 있던 사자바위 이정표도 그 자리에 잘 있더라.

백담사-소청대피소 코스에서 사자바위에 올라서면 어려운 구간은 거의 끝난 셈이다.

 

 

 

 

 

봉정암에 올라서자 이제는 자욱한 안개가 내설악의 비경을 완전히 삼켜버렸다.

그래서 이번에도 봉정암의 석가사리탑을 알현하지는 못했다.ㅜㅜ

 

 

 

 

 

대략 오후 4시반 경에 소청대피소에 도착을 한 후에 아직 저녁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아있고,

내일 아침에 일출을 본다는 확신도 없어서, 무거운 배낭은 대피소에 두고서 대청봉을 다녀오기로 한다.

 

 

 

 

 

나는 지난해만도 3번이나 설악산 대청봉에 올랐었지만,

오랜만에 대청봉을 오른 nc선배에게 대청봉의 아름다움과 장쾌한 조망을 못 보여드려서 죄송할 따름이다.

 

 

 

 

 

평소에는 대청봉 정상석 앞에서 인증샷을 찍기 위해서 수십미터의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데,

이번에는 이슬비가 내리는 오후 6시경에 올라와서 그런지 대청봉 정상에는 우리팀을 포함해서 단지 3명 뿐이다.

 

 

 

 

 

그래서 대청봉 정상석을 껴안고서 설악산의 정기(精氣)를 받는다고 생난리를 치고서는,

인증샷도 여유있게 다양한 X폼을 잡아가면서 여러장을 찍어 보았다.

 

 

 

 

 

그리곤 7시경에 다시 소청대피소로 복귀하여서, 대피소 취사장 바닥에서 대청봉 등정을 자축하면서

백담사부터 힘들게 지고 올라간 돼지고기와 소주로 성대한 만찬을 벌렸다.

 

 

 

 

 

비록 안개와 이슬비때문에 구곡담계곡에서 아름다운 비경과 대청봉 정상에서 장쾌한 조망을 보지는 못했으나,

대청봉 정상석을 직접 껴안고서 정기를 듬뿍 받았으니, 올해는 나와 nc형님 모두 좋은 일만 있었으면 한다.

 

And

동해안 자전거길 종주와 함께한 애플워치(Apple Watch) 사용기

|

 

 

지난주에 미국 애플스토어에서 직구한 애플워치 스포츠(Apple Watch Sports 42mm)를 수령하고서

주말에는 동해안 자전거길을 임원부터 통일전망대까지 종주를 하면서 실제로 필드테스트를 해보았다.

 

 

 

 

 

첫째날 새벽 5시경에 임원에서 동해안 자전거길을 출발하면서 애플워치의 운동어플을 '실외사이클링'으로 구동시켰다.

스마트폰의 트랙로그 어플처럼 배터리가 많이 소모될 것으로 예상은 했었으나, 정말로 장난이 아니게 배터리가 날아간다.

 

 

 

 

 

보통 장거리 라이딩에서는 하루에 100Km 이상의 거리를 10시간 이상 자전거를 타기 때문에 배터리 문제가 항상 골치이다.

그런데 애플워치 이놈은 라이딩 시작 2시간 만에 벌써 35%의 배터리가 날라갔다.

단순한 계산으로 6시간 라이딩이면 애플워치의 배터리가 앵꼬가 되어 돌아가신다는 이야기이다.

그래서 아침 7시경에 아침식사를 하면서 급하게 스마트폰과 액션캠을 지원하는 대용량 배터리에서 응급 충전을 시도했다.

 

 

 

 

 

나는 장거리 라이딩을 하면서 스마트폰에는 '런타스틱 로드바이크'라는 트랙로그 어플을 백그라운드에서 구동시키고,

액션캠을 항상 스탠바이 모드로 준비시키기 위해서 자전거 프레임백에 10,000mA짜리 대용량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면서

지속적으로 스마트폰과 액션캠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10,000mA 대용량 배터리이면 하루 12시간 이상의 장거리 라이딩도 거뜬하게 버텨준다.

 

 

 

 

 

42mm 애플워치의 액정화면도 작아서 조금 답답하기는 하였지만,

라이딩중에 잠깐 휴식을 취하면서 지도에서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의 날씨를 확인하고, 스마트폰의 음악을 켜고 끄는 데는 편리했다.

 

 

 

 

 

라이딩을 시작한지 6시간 만인 오전 11시경에는 애플워치의 배터리가 심각한 수준까지 떨어져서

동해시 어달해수욕장 부근에서 점심식사와 디저트로 빙수를 먹으면서 급하게 충전에 나섰다.

가뜩이나 라이딩 초반의 업힐에서 진을 많이 뺐는데, 애플워치 이놈까지 신경을 쓰이게 만든다.

 

 

 

 

 

오후 2시경 정동진을 조금 못 미처서 부터는 애플워치의 배터리에 대한 미련을 버렸다.

 

'쓰가발, 지가 나를 모셔야지. 내가 지를 모시는 꼴이네.'

 

 

 

 

 

가까스로 오후 5시경에 강릉 경포대의 동해안 자전거길 인증센터에서 인증도장을 찍고선 첫날 라이딩을 마쳤다.

그리고 숙소에 들어가서 아이폰과 애플워치를 연동시켜서 활동앱을 살펴보니 하룻동안 우라지게 운동한 것으로 나온다.

 

 

 

 

 

숙소에서도 다음날의 원활한 라이딩을 위하여 디바이스들의 충전을 하는 것이 내게는 아주 중요한 일이다.

마이크로USB를 사용하는 대용량 배터리, 비상 배터리, 액션캠, 블루투스 스피커를 위해서는 5포트 USB충전기를 가지고 다니며,

아이폰과 애플워치를 위해서는 2구 USB충전소켓을 사용했다. 그런데 애플워치의 충전케이블(2m)이 휴대하기엔 너무 길다.

 

 

 

 

 

둘째날에는 새벽 5시 20분에 라이딩을 시작하면서, 어제와 같은 스트레스를 겪지 않기 위하여 애플워치의 운동어플은 구동시키질 않았다.

 

 

 

 

 

애플워치의 배터리에 대한 스트레스에서 해방이 되자 한결 마음이 편안해진다.

 

 

 

 

 

나는 애플워치에 10개정도의 '한눈에 보기'화면을 설정하여 놓았는데,

액정화면을 아래에서 위로 쓸어 올린 다음에 좌우로 필요한 화면을 찾는데 편리했다.

 

 

 

 

 

이틀동안 240km의 거리를 20시간 넘게 달리면서 혹시나 애플워치의 스트랩이 풀려서

애플워치를 잃어버리지 않을까 내심 걱정을 했었는데 생각외로 튼튼하게 버텨주었다.

 

 

 

 

 

집에 돌아와서 애플워치의 활동앱을 아이폰으로 확인을 해보자 정말로 운동의 동그라미가 미친듯이 돌아간다.

그리고는 열심히 운동을 했다고 '참 잘했어요' 꽃표도 4개씩이나 준다.ㅋㅋ

 

 

 

 

 

내가 좋아하는 산행과 자전거등 아웃도어 활동(Outdoor Activity)과 건강관리(Health Care)를 위하여 구매한 애플워치는 괜찮은 솔루션으로 보인다.

앞으로 산행 및 건강관리에 더욱 사용을 해봐야겠지만, 스마트폰과 더불어서 내 생활을 윤택하게 만들어주는 도구가 될 듯 싶어 보인다.

And
prev | 1 | 2 |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