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5.05.31 안개속에서 걸어본 소백산 산행기
  2. 2015.05.03 횡성부터 여주까지 섬강자전거길을 라이딩하다.

안개속에서 걸어본 소백산 산행기

|

 

 

오늘은 대학친구 3명과 소백산을 천동계곡을 출발하여 비로봉과 연화봉을 경유하여 죽령휴계소까지 대략 20Km의 거리를 9시간 가량 걸어보았다.

소백산은 충청북도 단양군과 경상북도 영주시 및 봉화군에 걸쳐서 위치하며, 해발 1,439m의 비로봉을 꼭대기로 하는 유명한 산이다.

 

 

 

 

 

작년 4월의 지리산 천왕봉 산행이후에 정말로 오랜만에 대학친구 4명이 뭉쳐서 소백산을 함께 오르기로 하였으나 날씨가 문제였다.

주중에는 날씨가 미쳤는지 기온이 30도를 넘나들면서 무척이나 덥더니만, 하필이면 소백산 산행이 예정된 주말에만 비소식이 있다.ㅠㅠ

 

다시금 4명의 스케줄을 조정하기도 힘들어서 모든 것을 하늘에 맡기고선 소백산 산행을 예정대로 결행하였다.

평소에는 기상청의 일기예보가 많이도 틀리더만, 오늘은 귀신같이 맞더라. 오전에는 약간의 비, 오후에는 갬...

 

 

 

 

 

아침 6시 20분경에 경부고속도로 죽전간이정류장에서 도킹하여 영동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를 바람같이 달려서,

오전 9시가 조금 넘은 시간에 오늘의 들머리인 천동계곡 주차장에 도착하였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때마침 소백산 철쭉제 기간(5.28-5.31)이어서 산행 들머리에서 스마트폰 파우치를 선물로 준다.

스마트폰을 아이폰6로 업그레이드를 하여서 기존에 사용하였던 파우치가 조금 작았었는데 무척이나 고마웠다.

 

 

 

 

 

 나도 머리에 털나고 소백산은 처음 찾았는데 오래된 명산이어서 그런지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었고,

등산로 우측으로는 천동계곡의 시원한 계곡물이 콸콸콸 흐르고 있어서 상쾌하기 그지 없었다.

그리고 날씨는 흐렸지만 다행히 비는 내리질 않아서, 무더운 날씨보다 오히려 오르막을 걷기가 수월하였다.

 

 

 

 

 

소백산의 천동계곡 코스가 경사도는 완만하여서 오르기가 그렇게 힘이 들지는 않았으나

천동삼거리까지 6.2Km의 구간을 한번도 다운이 없이 줄창 오르기만 하자니 조금은 지루했다.

 

비로봉이 코앞인 천동삼거리에 도착하자, 안개가 몰려오면서 가는 이슬비와 칼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생존을 위해서 잽싸게 바람막이를 걸쳐 입고선, 연신 원터풀을 외치면서 사진을 찍어본다.

 

 

 

 

 

소백산의 철쭉들이 아름답기는 하였지만, 몰려오는 안개와 정상부의 칼바람속에서 감흥지수는 왕창 떨어진다.

하기야 나는 아직도 철쭉과 연산홍을 구별하지 못하는 고문관이다.

 

 

 

 

 

정상석을 사진에 담아보고자 가까이 접근해 보았지만, 정면에서 단독샷을 날리기에는 어림도 없다.

자욱한 안개와 매서운 칼바람속에서도 인증샷을 찍기 위하여 긴~줄을 서는 정성들이 참으로 대~단하다.

 

 

 

 

 

비로봉을 뒤로하고 다시 천동삼거리로 내려오는 우측편에는 주목들이 장관이다.

겨울에 이놈들 머리위에 흰눈이 쌓이면 엄청난 장관을 연출할 것으로 보인다.

 

 

 

 

 

비로봉에서 연화봉으로 이어지는 소백산 능선길에서는 짙은 안개때문에 광(光)이 적어서 사진도 꽝이고, 조망도 꽝이다.

화창한 날씨에 좌우로 펼쳐진 아름다운 풍광을 머리속으로만 그려보면서, 짙은 아쉬움을 안고서 터벅터벅 걸었다.

 

 

 

 

 

소백산 능선길을 한참 걸어서 연화봉에 도착하자, 나처럼 연식(年式)이 조금 오래된 정상석이 반겨준다.

 

1982년 10월 24일이면 대학입학 학력고사 직전에 개고생을 하고 있을 무렵이고,

1987년 5월 31일이면 군대에서 상병을 갓 달고선 뺑이를 치고 있을 때이다.

당시를 떠올리니 웃음이 살짝 나온다.

 

 

 

 

 

연화봉 바로 아래에 위치한 소백산 천문대를 지나자 언제 그랬냐는듯이 순식간에 안개가 걷힌다.

 

정말로 산위에서의 날씨는 변화무쌍하다.

 

 

 

 

 

제2연화봉의 전망대에서 북쪽을 바라보자 구름이 발치아래로 보이며 산줄기들이 너무나도 아름답다.

이 맛에 오르막에서 힘이 들지만, 기를 쓰고서 산에 오르나보다.

 

 

 

 

 

오늘도 좋은 사람들과 멋있는 산을 행복하게 걸어보았다.

 

"친구들아, 70,80살이 될때까지 건강하게 100대 명산을 함께 오르자꾸나"

And

횡성부터 여주까지 섬강자전거길을 라이딩하다.

|

 

 

오늘은 섬강자전거길을 횡성부터 여주까지 접속구간을 포함하여 80Km의 거리를 7시간 동안 달려보았다.

 

한문으로 두꺼비섬(蟾)을 사용하는 섬강은 태기산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서 남한강과 합류하는 강이다.

 

 

 

 

 

섬강자전거길은 공식적으로 횡성군 횡성읍 마옥리 수백교에서 시작하여 원주시 부론면 흥호리 섬강교에 끝나는 53Km구간의 자전거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횡성터미널에서 수백교까지의 7Km와 섬강교에서 여주터미널까지 17Km의 접속구간이 있어서 도합 80Km의 거리를 달렸다.

 

 

 

 

 

주중에 인터넷으로 섬강자전거길의 출발지인 횡성터미널로 가는 시외버스편을 검색하자 만만하지가 않다.

횡성이 큰도시가 아니어서 그런지 집에서 가까운 성남터미널이나 수원터미널에서는 횡성으로 가는 직행버스편은 없고,

동서울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도 양평, 용문, 용두리를 거쳐서 2시간이 넘게 걸리는 완행버스밖에 없다.ㅜㅜ

그래서 성남터미널에서 6시반 첫차로 원주로 점프했다가 다시 횡성으로 점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오전 9시가 조금 넘어서 횡성터미널에 도착하여 섬강자전거길의 공식출발점인 마옥리 수백교까지 7Km를 거슬러 올라갔다.

당초에는 횡성댐까지 올라갈 요량이었으나 초반 지방도의 업힐에서 그닥 컨디션이 좋지 못하여 잽싸게 포기를 하였다.

 

 

 

 

 

섬강자전거길은 출발점인 수백교부터 횡성읍까지와 하류구간인 간현부터 섬강교까지만 자전거 전용도로로 되어있고,

나머지 구간은 한적한 지방도로를 자동차와 함께 달려야 하고, 3-4곳의 업힐구간이 있어서 초보자에겐 만만치가 않아 보인다.

 

 

 

 

 

그래도 MB가 인위적으로 파헤쳐 만든 4대강(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자전거길에 비해서는 휠씬 자연미가 있었다.

 

 

 

 

 

아직 5월 초순인데 날씨가 미쳤는지 마치 한여름을 방불케하는 기온이어서

준비해간 1리터의 식수로는 어림도 없어서 3캔의 음료수를 중간중간에 보급을 하였다.

 

 

 

 

 

섬강자전거길 구간중 가장 번화한 곳인 간현에 도착하자 5월 황금연휴를 맞이하여 엄청난 행락객으로 붐비고 있었다.

마치 신선(神仙) 세계에 있다가 속세(俗世)에 내려온 기분이어서 음료만 보급하고 서둘러서 그곳을 빠져나왔다.

 

 

 

 

 

그리고 중앙선 철로가 보이는 한적한 공원에서 아침에 준비해간 김밥과 음료수로 허기진 배를 달랬다.

 

 

 

 

 

간현부터는 다시 자전거 전용도로를 달리기 때문에 자동차의 스트레스도 지방도의 무지막지한 업다운의 부담도 없었다.

 

 

 

 

 

배에 곡기(穀氣)가 들어가고 식사후에 그늘에서 조금 쉬었더니 애가 제정신으로 돌아와서, 섬강자전거길의 아름다운 풍광이 다시금 눈에 들어온다.

라이딩이 오후에 접어들자 자전거에서 내려서 사진을 찍는 것도 귀찮아서 액션캠의 동영상으로 추억을 공유해 본다.

 

 

 

 

 

이윽고 오후 2시 20분경에 섬강자전거길의 종착지이자 남한강자전거길과 합류하는 섬강교아래에 도착을 하였다.

 

 

 

 

 

이제는 남한강자전거길을 따라서 여주까지 북상하여 여주터미널에서 집으로 점프를 할 예정이다.

 

 

 

 

 

이제는 나이도 먹고 아이들도 많이 커져서 캠핑에 대한 열정이 많이 식었지만, 강천섬은 나중에 가족들과 피크닉을 하러 한번 와야겠다.

 

 

 

 

 

그리고 강천보에서 액션캠, 블루투스스피커등 모든 라이딩과 관련된 장비들을 철수하고 오늘의 라이딩을 거의 마무리했다.

 

 

 

 

 

섬강자전거길은 4대강 자전거길과는 다르게 자연적인 풍광이 아름답고 사람이 적어서 한적하게 라이딩을 할 수가 있으나,

전체구간의 절반이상을 자동차와 함께 지방도를 달려야하고 업다운도 만만치가 않으며,

자전거길의 노면도 대부분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어서 속도나 쾌적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

 

그래서 가족단위의 라이딩엔 비추이다.

 

And
prev | 1 |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