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399건

  1. 2018.04.03 아이폰X 럭셔리 액세서리 3종 세트
  2. 2018.03.22 피바로 버튼(FGPB-101)을 스마트싱스 허브에 연결하기
  3. 2018.03.19 아이폰X로 기변을 하고서 내 휴대폰 22년史를 되돌아 보다. 1
  4. 2018.03.14 위치 공유 어플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 3
  5. 2018.03.10 홈킷의 홈 허브(Home Hub)를 특정 장비로 고정시키는 방법 7
  6. 2018.03.10 HomePod과 Volumio로 AirPlay2 멀티룸 오디오를 구현하다. 4
  7. 2018.03.04 애플 홈팟君과 아마존 에코孃의 복면가왕전
  8. 2018.03.03 애플 티비용 'HomeCenter for HomeKit' 어플 구경하기

아이폰X 럭셔리 액세서리 3종 세트

|


보통 새 집에 입주를 하면 새 가구들을 들이고, 새 자동차를 구매하면 새롭게 치장을 하듯이,

지난달에 아이폰X로 기변을 하였더니 새로운 액세서리들이 눈에 자꾸만 들어와서 확~ 질렀다.







아이폰6 시절에는 바지속에 쓸려서 간혹 誤접속이 발생하여 지갑형 케이스를 선호했었는데,

이번에는 새들 브라운(Saddle Brown) 색상의 오픈형 가죽 케이스가 눈에 훅~하고 들어와서,







미국 아마존에서 42.99 달러에 구매를 하여서 다른 물건들과 함께 묶음 배송을 시켰다.







나는 등산 및 자전거 라이딩등 아웃도어 액티비티를 많이 즐기는 편이라,

오픈형 케이스로는 안심이 되지를 않아서, KT의 'i-프리미엄'(월 5,500원)이라는 단말기 보험에도 가입을 하였다.







아이폰X의 충전은 라이트닝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충전도 물론 가능하나,

무선 충전을 경험하고 싶어서 벨킨 충전 패드(Belkin Boost Up 7.5W Wireless Charging Pad)도 잡아 들였다.







이 놈은 때마침 아마존에서 Promotion 행사를 하여서 20달러를 할인 받아 39달러에 득템을 하였다.







야간에 아이폰X를 충전 패드 위에 던져만 놓아도 충전되어서 편리했었고,

무엇보다 충전 표시등(indicator)이 작아서 수면에 방해가 되지 않아서 좋았다.







애플의 무선 블루투스 헤드셋인 AirPods은 미국 공홈의 상품 가격(159달러)에 배송대행료(12달러 정도)를 더하면 커다란 가격 매리트가 없어서,







국내 KT샵에서 남아 도는 KT포인트로 20,800원을 할인 받아서 187,250원에 구매를 하였다.







AirPods을 아이폰X에 가까이 위치시키자 자동으로 페어링이 되었는데 내 막귀에도 음질이 상당히 좋았다.

이 놈은 거실의 다양한 셋톱박스(스카이 라이프, 애플 티비, 파이어 티비등)에 연결하여 추가적인 테스트를 해 볼 예정이다.







아이폰X로 기변을 하고서 럭셔리 액세서리 3종 세트인 새들 브라운 가죽 케이스, 벨킨 무선 충전 패드, 애플 AirPods을 구매하였는데,

모니터 앞에서 침만 질질 흘리는 것보다 과감하게 지르고 몇 달을 굶는 것이 정신 건강에는 휠씬 좋다고 스스로 합리화를 하여 본다.





And

피바로 버튼(FGPB-101)을 스마트싱스 허브에 연결하기

|


오늘은 피바로 버튼 (FGPB-101)을 삼성 스마트싱스 허브(이하 ST)에 아주 어렵게 어렵게 연결하여 보았다.







피바로 버튼은 Z-Wave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외형을 가진 스마트 버튼인데,

곧 애플 홈킷을 지원하는 2세대 제품이 나온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경험에 비추어서 홈킷 지원하는 제품이 아니라, 홈킷 지원하는 제품일 공산이 크고,

가격도 Z-Wave 제품에 비하여 1.5배 가량 비싸서 Z-Wave Only의 1세대 제품을 선택하였다.







피바로 버튼을 아마존에서 49.99달러에 구매하여 5.3달러에 우리집까지 직배송을 시켰는데,

4년 전에 악몽같은 배송 경험을 안겨 주었던 아이파슬에 당첨이 되어서 마음을 비우고 있었다.

그런데 이 놈들이 정확히 10일 만에 제품을 배송시켜 주었다. 이제는 직배송도 많이 빨라졌다.


아마존 직배송(i-parcel)의 거짓말과 판토스(pantos)의 무능함







피바로 버튼은 생각보다 크기(46*34mm, D*H)가 많이 작았으며, 처음 구경하는 배터리(ER14250 1/2 AA 3.6V)가 들어 있었고,

통신 프로토콜은 북미 버전(908.4, 916.0MHz US)의 Z-wave를 사용하며 AES-128 암호화 통신 보안 모듈을 지원하였다.







처음에는 구글링을 하여서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ST Device Handler(이하 DTH)를 사용했었는데,

디바이스는 잘 생성하는데 각각의 버튼 액션을 다른 디바이스 또는 액티비티에 연결하는 Association이 죽어라도 안된다.

식식거리면서 디바이스와 DTH를 2-3번 생성하고 지웠다가를 반복하다가 지쳐서 포기하고 첫째날은 그냥 디비 잤다.






 

그리고 다음날에 Fibaro Knowledge Base에서 공식 DTH를 발견하여 잔뜩 기대를 걸었으나 이 또한 Association에는 실패를 하였다.

내 스마트폰 OS(iOS 11.3 Beta)가 문제인가 싶어서, 예전에 사용하던 아이폰6를 공장초기화하여 테스트를 하여도 결과는 똑같았다.

열이 받아서 피바로 콘트롤러인 Home Center를 확~ 지를까도 생각했으나, 나는 Z-wave 디바이스가 거의 없어서 겨우겨우 참았다.






그런데 정말로 이상한 점이 Fibaro KeyFob 제품은 공식 DTH에서 Association 메뉴가 떡하니 들어가 있다. 정말로 피바로의 공식 DTH의 의도를 알다가도 모르겠다.







그래서 오후부터는 여기저기에 정보 동냥을 하여서 스마트홈 카페 매니저님의 도움으로 webCore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을 하였다.






새로이 설치한 피바로 버튼은 봄맞이 화장실 환경 업그레이드시에 거실에서 화장실로 이사한 로지텍 팝 스위치의 역할을 대신하여,

Single Click는 첫번째 거실 전등, Double Click은 두번째 거실 전등, Long Press(Hold)는 거실 플러그 2개를 켜고 끄는 아주 단순한 피스톤을 만들었다.







피바로 버튼을 ST에 연결하면서 네타트모 웨더스테이션 설정때의 개고생 이후로 최대의 삽질을 하였는데,

과거에는 혼자서 열폭하면서 식식거렸는데 이제는 모르면 물어 볼 스마트홈 카페가 있는게 참으로 고맙다.

그래서 나는 인터넷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의 원천인 블로그를 사랑하고 스마트홈 카페를 좋아라 한다.





And

아이폰X로 기변을 하고서 내 휴대폰 22년史를 되돌아 보다.

|


첫째가 태어났던 1997년에 신세기통신(2002년에 SKT로 흡수합병)과 삼성 단말기로 내 휴대폰 라이프는 시작되었다.

그리고 2009년까지 13년 동안 통신사는 SKT, 휴대폰 단말기는 삼성이 세상의 전부인줄 알고서 사용을 했었다.

아, 모토로라 레이저가 너~무 예뻐서 단말기는 딱 한번 외도를 했었다.







2009년 12월에 나도 스마트폰을 가지고 싶어서 삼성 옴니아와 애플 아이폰3GS를 비교 검토 했었는데,

HW 스펙으로는 삼성 옴니아가 월등히 우세했지만 이상하게 아이폰3GS가 감성적으로 훅~하고 다가와서 명동 프리스비에서 구매를 하였다.

당시에는 KT가 국내 독점으로 아이폰을 공급하여서 SKT에서 13년간 쌓은 포인트와 011번호의 프라이드도 모두 날아 갔지만 정말로 신이 났었다.







피처폰 시절에는 반드시 'Nate키'를 눌러서 매우 비싼 데이터 사용료와 정보사용료를 지불하고서도 형편없는 정보를 얻었었는데,

아이폰3GS에서 WIFI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자 데이터 사용료도 정보사용료도 모두가 공짜인 인터넷의 신세계가 펼쳐져 있었다.


정말로 엄청난 문화적 기술적 충격을 받았고 그 동안은 SKT와 삼성이 만들어 놓은 틀 속에서 심하게 속고 살은 기분이었다.

그래서 집사람의 단말기도 아이폰3GS 화이트로 곧바로 교체를 하고서는 그때부터 우리 가족과 애플의 동행이 시작되었다.







아이폰4는 한번 건너 뛰고서 2012년 12월에 아이폰5로 교체를 하였는데,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각이 진 알루미늄 외관은 엄청난 간지를 뿜었었다.

이 놈은 나와의 인연이 길지는 못해서 2014년 6월에 춘천에서 자전거 라이딩을 하다가 낙상을 하여서 아이폰5S로 할 수 없이 교체를 하였다.


북한강 자전거길 종주 - 신매대교부터 밝은 광장까지







내가 아이폰을 좋아하는 이유는 몇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는 한 놈이 만들어서 HW와 SW의 궁합이 매우 좋다는 점이고, 두번째는 세월이 지나도 꾸준하게 OS 업데이트를 지원한다는 점이다.

곧 정식으로 발표될 iOS11도 6년전 발매 모델인 아이폰5S를 지원하는 점이 매우 기특하다.







아이폰6가 국내에 출시되었던 2014년 12월에는 단통법 때문에 정부도 통신사도 모두 꼴 보기 싫어서,

이마트에서 아이폰6 언락폰 2대를 한방에 구매하여서 나와 집사람의 스마트폰을 업그레이드 하고서는,

첫째에게는 내가 쓰던 아이폰5S를 둘째에게는 집사람이 쓰던 아이폰5를 물려주고서 iOS 가족 공유로 묶었다.


아이들의 스마트폰에 필수적인 iOS8 가족공유기능과 위치공유 'Life360' 어플







나는 박근혜 정부 최악의 법안은 단통법이라고 생각하는데, 모든 국민이 휴대폰을 골고루 비싸게 사는 법이 세상천지 어디에 있는지 반문하고 싶다.

아이러니하게도 단통법의 열매는 국내에서 시장점유율이 한 자릿수를 넘지 못하며 고전했던 애플이 엄청나게 약진하는 결과를 가져다 주었다.







아이폰6와는 아주 질긴 인연을 가지고 있어서 3년을 넘게 잘 사용했는데, 한번은 술을 처먹고 깜빡하고 택시에 두고 내렸는데,

'Life360' 위치 공유 어플과 '내 iPhone 찾기' 기능을 활용하여 택시를 1시간 넘게 추격하여 찾았던 잊지 못 할 추억을 가지고 있다.







나는 마누라와 자식들 빼고는 새 것을 좋아하는 전형적인 수컷이어서,

눈(雪)이 질퍽거렸던 지난해 12월의 어느 날에 강남 프리스비에 들어가서 아이폰X를 만지작거렸는데,

내 꼬라지가 아이폰X를 살 것 같지는 않았는지 매장의 년놈들이 눈길조차 주지를 않아서 마음이 상해서 나왔었다.

그러다가 최근에 iOS11 퍼블릭 베타를 테스트 하는데 아이폰6가 많이 버벅거려서, 지난주에 욱~하는 마음으로 아이폰X로 갈아 탔다.







나는 연식이 조금 되어서 노안(老眼) 때문에 안경을 자주 올리는 버릇이 있는데,

'Face ID가 얼굴 인식을 잘 할까?', '홈 버튼이 없어져서 불편하지는 않을까?'등 내심 걱정을 했었는데,

지하에 있는 스티브 잡스가 들으면 서운해 할 지는 모르겠지만 금세 적응이 되면서 너무나도 편리했다.







오늘은 아이폰X로 기변을 하고서 이런저런 옛날 생각들이 많이 떠올라서 주절거려 보았다.


아이폰X는 너무나도 사악한 가격 때문에 나도 한동안은 외면을 했었지만,

지난주 부터 4-5일을 가지고서 놀아 보니 참으로 괜찮은 물건이라는 생각이 든다.





And

위치 공유 어플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

|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위치 추적(Tracking) 어플이라고 부르는 위치 공유(Sharing) 어플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어떤 대상을 부정의 눈초리로 바라보면 의심부터 생기지만, 긍정의 시선으로 바라보면 호의적으로 되는 것처럼,

'위치 추적'이라는 단어에는 감시와 불신이 머리속을 선점하지만, '위치 공유'라는 단어에는 안전과 마음의 평안이 함께 떠오른다.







나는 4년 전부터 'life360'이라는 위치 공유 어플을 가족 모두의 동의를 구한 후에 서로 공개를 하여 사용하고 있다.

쉽게 이야기를 하여서 우리 가족 누구든지 다른 가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언제든지 조회가 가능하다.


아이들의 스마트폰에 필수적인 iOS8 가족공유기능과 위치공유 'Life360' 어플







아무리 부모라도 금융기관이나 통신사에 있는 자녀들의 개인 정보를 마음대로 열람을 할 수가 없듯이,

자녀들의 위치 정보 열람도 반드시 본인들의 동의와 상호 공개(Give & Take)의 원칙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사석에서 주변의 지인들에게 'Life360' 위치 공유 어플을 소개해 보면,

부모들은 자녀들의 위치 정보를 매우 알고 싶어 하지만, 정작 자신들의 위치 정보는 상대방에게 공개하기를 꺼려 한다.

세상에 이런 이기적인 생각이 어디 있는가? 다른 사람의 위치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위치 정보도 기꺼이 제공해야만 한다.








이 'Life360' 위치 공유 어플은 스마트싱스 허브와도 기본으로 연결이 되며, 홈브릿지를 통하여 홈킷의 재실 정보와도 리얼타임으로 연동이 된다.








또한 우리집에 적당한 반경의 지오펜스(Geo fence)를 설정하여 놓으면 가족들의 입출입 통지는 물론이고,

webCore, IFTTT등 자동화 도구를 사용하여 다른 스마트홈 디바이스와 연계한 무궁무진한 응용도 가능하다.







그래서 우리집은 생사확인을 거의 눈(Life360 어플)으로 하며, 정보의 전달시에는 손(카톡)으로 하고, 정말로 위급시에만 말(전화)로 하는데,

인간의 五感(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중에서 시각의 판단이 가장 빠르고 정확하며, 언어(舌)의 전달에서 가장 많은 오류가 발생한다.







이제는 우리 가족의 안전과 마음의 평화를 위하여 긍정의 시선으로 위치 공유 어플을 바라보자.


위치 추적(Tracking) 어플이 아니고, 위치 공유(Sharing) 어플이다.



And

홈킷의 홈 허브(Home Hub)를 특정 장비로 고정시키는 방법

|


오늘은 애플 홈킷(HomeKit)의 홈 허브(Home Hub)를 특정 장비로 고정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홈킷의 홈 허브는 외부에서 집안의 홈킷 액세서리를 접근하게 해주는 장비인데,

현재는 애플 티비(4세대 이상), 홈팟, 아이패드가 홈 허브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홈 허브로 사용할 수 있는 장비가 1대만 있으면 아무런 문제가 없겠지만,

나처럼 여러 대가 있을 경우에는 약간의 문제가 발생하더라.







나는 거실과 침실에 각각 애플 티비 4K와 애플 티비 4세대를 사용하고 최근에는 홈팟도 구매를 하였는데,

홈 허브의 연결 장비가 하루에도 몇번씩 순환을 하며 바뀌어서(HomePod<->Apple TV1<->Apple TV2),

루트론 홈브릿지가 홈킷 계정을 잠시동안 잃어버리며 딸려있는 액세서리들이 '응답없음'으로 빠진다.







그래서 구글링을 하여서 국내 및 해외의 관련 사이트에 들어가 보아도 여기에 대한 정보는 전혀 없고,

자동으로 설정이 된다는 무책임한 글만 써있다. 한마디로 지들 마음대로 연결을 하겠다는 이야기이다.







목마른 놈이 우물을 파는 심정으로 애플 티비를 유선랜에서 무선랜으로 바꾸는 등 다양한 시도 끝에 나름 방법을 찾았는데,

홈 허브로 고정시키기 위한 장비(내 경우에는 HomePod)를 라우터에서 DHCP Reservation(IP주소를 항상 고정)시키고,

나머지 장비들(내 경우에는 애플 티비 2대)은 일반적인 DHCP(IP주소를 자유롭게 할당)를 사용하자 해결이 되었다.







우리집 스마트홈의 표준 어플인 홈앱에서 몇몇 장비들이 가끔씩 '응답없음'으로 빠져서 보기가 싫었는데,

홈 허브를 항상 동일한 장비로 고정을 시키자 그런 현상들이 사라져서 별 것은 아니지만 똥창이 매우 흐~믓하다.






PS1 : 휠씬 쉬운 방법



SmartThings & Connect Home 이라는 네이버 카페에서 댓글을 주고 받으면서 휠씬 쉬운 방법을 알아 내었다.

그냥 애플 티비의 '계정->iCloud->HOMEKIT'에서 홈킷 계정의 연결을 끊으면 홈 허브가 비활성화 되지만,

홈킷이나 AirPlay2의 구동에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를 않았다. 단, 홈 허브의 백업 기능은 없어 진다.


쉬운 길을 두고서 너무 많이 돌아왔다.





PS2 : 다시 내 방법으로 돌아왔다.


애플 티비를 비활성화 시켜놓자 외부(원격)에서 루트론 브릿지와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접근하지 못한다.

아마도 3rd Party인 루트론과 어거스트는 아직 애플 티비만 홈 허브로 인식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And

HomePod과 Volumio로 AirPlay2 멀티룸 오디오를 구현하다.

|


오늘은 애플 홈팟(HomePod)과 라즈베리파이 볼루미오(Volumio)를 사용하여 AirPlay2 멀티룸 오디오를 실제로 구현하여 보았다.







지난달에 집안에서 놀고 있는 라즈베리파이에 오픈 소스 뮤직 플레이어인 Volumio를 설치하였는데,

이 놈이 AirPlay2 멀티룸 오디오를 지원하는 점이 내게는 무척이나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라즈베리파이의 Volumio로 일반 스피커를 스마트 스피커로 변신시키다.







그래서 시놀로지 홈브릿지의 백업 역할을 하던 나머지 라즈베리파이에도 Volumio를 깔아서,

이미 공중분해한 집사람 PC의 안쓰는 스피커와 결합하여 첫째방에 룸오디오로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아이튠즈의 노래를 거실의 HomePod, 첫째방의 Volumio01, 둘째방의 Volumio02로

동시에 플레이를 하면서 AirPlay2 멀티룸 오디오를 직접 테스트 해보았다.







이 또한 백문이 불여일견이다. 가능하면 PC에서 화면 크기를 확대하여 보면 쉽게 이해가 되리라 생각된다.


스피커를 하나씩 추가할 때는 잠시 주춤거림이 있었으나, AirPlay2 멀티룸 오디오는 전반적으로 잘 구동이 되었는데,

녹음 과정의 실수로 오디오가 깨끗하지 않음을 양지바라며, 그저 눈으로 멀티룸 오디오의 작동만 이해하길 바란다.







나는 AirPlay2 멀티룸 오디오와 필립스 휴 칼라 전구를 엮어서, 아이들 방의 아침 기상 도구로 활용하고 싶었는데,

눈치가 8단인 마누라쟁이가 이미 낌새를 채고서는 "집안이 무슨 논산훈련소냐?"며 완강하게 거부를 한다.ㅠㅠ


Airplay2 멀티룸 오디오가 아직은 미완의 기술이지만, 완성도가 높아지면 유용하고 재미있는 스마트홈 툴로 쓰이지 싶다.



 


And

애플 홈팟君과 아마존 에코孃의 복면가왕전

|


오늘은 애플家 홈팟군과 아마존家 에코양의 백년가약을 맺어주고, 둘 사이의 음질을 테스트 하기 위하여 복면가왕전을 열었는데,

둘은 요즈음 트랜드답게 연상연하의 커플인데, 홈팟(2개월)은 통통하여 듬직하고 에코(2년10개월)는 날씬하고 세련되어 잘 어울린다.







공정한 경연을 위하여 제작자도 준비를 많이 하였는데, 블루 예티 마이크를 맥북 에어와 연결하여 가라지 밴드로 녹음을 하였고,

주(Main)화면은 DSLR 카메라로 실제 모습을 녹화하였고, 보조(Sub)화면은 iOS 스크린 레코딩으로 스마트폰의 화면을 캡처하였다.

그리고 후작업으로 PC에서 어도비 프리미어와 소니 플레이 메모리즈 프로그램으로 편집과 믹싱을 하였다.

그런데 iOS 스크린 레코딩은 뒷부분으로 가면서 영상이 밀리는 현상이 있어서 비디오와 오디오의 싱크는 정확하지가 않다.ㅠㅠ







홈팟과 에코간에는 약간의 체급 차이가 있어서, 홈팟에게는 핸디캡(1/3 음량)을 에코에게는 어드밴티지(2/3 음량)를 주었으며,

경연 방법은 1라운드는 팝송, 2라운드는 클래식, 3라운드는 가요로 선정하고, NAS에 있는 음악을 아이폰의 DS Audio로 받아서,

AirPlay2로 연결된 홈팟과 Bluetooth로 연결된 에코에 서로 한번씩 번갈아 가면서 나름대로 공평하게 출력을 하였다.







노래가 중간중간에 끊기는 것은 홈팟과 에코간에 음악이 전환하는 구간이오니 양지하고 감상하시기 바란다.

오전에 현장(우리집 거실) 녹음시에는 저음이 풍부한 홈팟이 휠씬 우세하게 들렸었는데,

오후에 편집과 믹싱을 완료하고 다시 들어보니 내가 저렴한 막귀여서 그런지 차이를 잘 모르겠더라.







애플 홈팟과 아마존 에코는 일장일단이 있는 인공지능 스피커여서 음질 하나로만 우열을 가르기에는 매우 어렵지 싶은데,

음질도 직접 들어보면서 개인적인 판단을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할 듯 싶다. 





And

애플 티비용 'HomeCenter for HomeKit' 어플 구경하기

|


오늘은 날씨가 너~무 좋아서 산에 가려고 하였으나, 어머니가 노로바이러스 증상을 보여서 상황 대기조로 차출이 되어,

일명 '스티븐 호킹의 의자'로 불리우는 거실 소파의 내 자리에서 TV, PC, 스마트폰과 완전히 삼위일체가 되어서 놀았다.







그래서 오랜만에 애플 티비의 앱스토어에 들어가서 이런저런 어플을 구경하던 중에 

'HomeCenter for HomeKit'이라는 눈에 띄는 어플을 발견하여 12.99 달러에 구매를 하였다.







이 녀석을 우리집 홈킷 계정에 연결하자 설정이고 나발이고 아무것도 필요없이 방(Room)별로 액세서리를 가져온다.







그래도 혹~시 액세서리의 순서라도 바꾸는 방법이 있는지 이리저리 둘러 보았으나 정말로 아무것도 없더라.







그저 전등스위치를 켜고 끄고 필립스 휴 전구의 조도와 색상을 바꾸는 정도가 전부이나,

애플 홈킷에 관심이 많은 나와 같은 환자들을 위하여 동영상으로 녹화를 하여 올려본다.







애플 티비용 'HomeCenter for HomeKit' 어플은 정말로 허접했으나, 단순한 눈요기거리는 되오니 한번 구경해 보시기 바란다.

요즈음 홈킷을 가지고 노는 재미에 푹~ 빠져 있는데, 우리집에서 홈킷의 의존도가 너무 높아지지 않았는지 살짝 걱정이다.


이제는 정말로 홈킷이 죽으면 나는 X된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