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1/28'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8.01.28 스마트홈 뒤에 숨겨져 있는 불편한 진실 4가지 4
  2. 2018.01.28 우리집에서 스마트홈을 사용하는 4가지 방법

스마트홈 뒤에 숨겨져 있는 불편한 진실 4가지

|


세상에 양지(楊枝)가 있으면 반드시 음지(陰地)도 있는 것처럼 스마트홈에도 어두운 면이 존재하는데,

오늘은 그동안 스마트홈을 활용하면서 아무도 말하지 않았던 불편한 진실 4가지를 이야기 하고자 한다.







1. 스마트홈을 구축하면 할수록 오히려 전기료가 더 나온다.


5년 전에 불필요한 대기전력을 차단하겠다는 단순한 생각으로 위모 스위치를 가지고 스마트 라이프를 시작하였는데,

집안에 스마트홈 디바이스들이 하나둘씩 늘어나면서 오히려 전기료는 야금야금 늘어만 가더라.

홈브릿지를 구동하는 시놀로지 나스 및 각종 스마트홈 브릿지들은 24시간 항상 구동을 해야 하기에 도리가 없었다.







2. 스마트홈이 항상 똑똑하고 항상 편하지만은 않다.


'화장실의 모션센서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전등을 켜고 30분 후에 자동으로 꺼져라'는 webCore 피스톤을 만들었는데,

어느날 밤에 느긋하게 면도를 하고서 머리를 감으며 샤워를 하는데 화장실의 전등이 저절로 꺼져서,

어둠속에서 모션센서에 대가리를 디밀었는데 전등이 자동으로 켜지지가 않아서 발가벗고 나와서 전등스위치를 켰었다.

또한 우리집에는 '사랑이'라는 반려견도 함께 사는데 이 놈이 실내에서 돌아다니면 여기저기 쓸때 없이 전등들이 켜진다.







3. 스마트홈은 정전이 되었다가 다시 전기가 들어오면 무당집이 된다.


스마트 전구인 필립스 휴는 특성상 항시 통전(通電)을 시켜야 하는데,

정전이 되었다가 다시 전기가 들어오면 모든 필립스 휴 전구들이 100% 밝기로 아주 환하게 켜진다.

지난해 가을에 귀가를 하다가 불야성을 이루며 무당집이 되어 있는 우리집을 바라 보노라니 기가 차더라.







4. 스마트홈은 홈네트워크가 죽으면 무용지물이 된다.


스마트홈은 사물인터넷(IoT)의 작은 범주이기에 홈네트워크가 죽으면 말짱 꽝이 되는데,

2주 전에 단자함의 8포트 허브가 돌아가시자 스마트홈 기능의 70-80%는 중지하더라.

침대에 자빠져서 조동아리로 전구를 끄고 모션센서에 대가리를 디밀며 전등을 켜다가,

홈네트워크가 죽으면 기존의 아날로그 라이프 보다도 훨씬 더 불편한 현실을 직면하게 된다.







세상사에서도 조화(調和)가 중요하듯이 스마트홈에서도 아날로그의 감성(感性)과 디지털의 똑똑함이 하모니을 이루어야 하지 않을까?





And

우리집에서 스마트홈을 사용하는 4가지 방법

|


이번 주말에는 날씨도 무지하게 춥고 지난주에 걸렸던 감기도 완전하게 낫지가 않아서,

집안에 콕 박혀서 '우리집에서 스마트홈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한번 생각해 보았다.







1. 스마트폰의 어플


스마트폰의 어플을 이용하여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조정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지 싶다.

초기에는 벨킨 위모와 필립스 휴등 오리지널 어플을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애플 홈킷(Homekit)을 주로 사용한다.

통합된 환경인 스마트싱스의 스마트 타일(SmartTile)과 홈 어시스턴트(Home Assistant)도 구축을 하였으나,

단순 사용자인 마누라와 아이들에게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애플 홈앱(HomeApp)이 가장 친숙하였다.







2. 스마트 스위치류


전통적인 방법인 물리적인 스위치로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켜고 끄는 것이 단순 사용자에게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어서,

필립스 휴 탭 스위치 3개, 딤머 스위치 4개, 로지텍 팝 스위치 6개를 집안 곳곳에 설치하고,

사용에 혼선이 없도록 명령을 통일하여 주로 전구와 플러그들을 켜고 끄는데 사용을 한다.







3. 자동화


자동화는 오리지널 어플 레벨, 스마트싱스 허브 레벨, 애플 홈킷 레벨등에서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하나,

지난해 후반에 스마트싱스 허브에 webCore를 이용하여 자동화를 구성하였는데 이 놈이 갑이더라.

현재는 모션센서 12개, 열림센서 5개, 온도센서 3개, 재실센서 5개등으로 자동화를 구성하여 사용중인데,

스마트홈 자동화는 한 집안에서도 개인마다 생활패턴이 달라서 교집합을 찾기가 어려웠다.







4. 음성명령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스피커에게 음성으로 명령을 내려서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조정하는 방법인데,

내 영어 발음이 매우 저렴하고 이 놈들이 조선말의 말귀가 많이 어두워서 아직은 불편하더라.

애플 홈킷을 주로 사용하는 우리집의 경우에는 애플 홈팟(HomePod)에 대한 기대가 크다.







스마트홈에 정답은 없다. 내가 만족하고 가족이 행복하면 그것이 정답이다.







And
prev | 1 | next